IT

[네트워크] GET과 POST의 차이, 특징 정리

만결숭이 2022. 4. 20. 14:34
반응형
GET & POST
: HTTP 메서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언가를 요청할 때 사용
 
 
=====
 
GE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기위해 사용되는 메소드이다. (ex. 게시판의 게시물을 조회할 때 )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,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(query string)이라고 부른다. 방식은 url 끝에 "?"를 붙이고 그 다음 변수명1=값1&변수명2값2... 형식으로 이어붙이면 된다.
 
 
GET의 특징
- 캐시가 가능하다.
-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는다.
- 북마크 될 수 있다.
- 길이 제한이 있다. (브라우저마다 제한이 다름)
- 중요한 정보를 다루면 안 된다. -> 파라미터에 다 노출되므로 최소한의 보안 의식이라고 생각하자.
- 데이터를 요청할때만 사용된다.
 
 
 
 
=====
 
POST :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되는 메소드이다. (ex. 게시판의 게시글을 작성할 때) 전송할 데이터를 HTTP 메시지 body 부분에 담아서 서버로 보낸다. POST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보통 HTML form을 통해 서버로 전송된다.
 
 
POST의 특징
- 캐시되지 않는다.
-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지 않는다.
- 북마크 되지 않는다.
- 길이 제한이 없다. (때문에 용량이 큰 데이터를 보낼때 사용하거나, GET처럼 데이터가 외부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아니라서 보안이 필요한 부분에 많이 사용이 된다.)

 

 

 

참조 링크 : https://noahlogs.tistory.com/35#recentEntries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