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/Spring

[Java/Spring]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 | start.spring.io 사용법 | 스프링 시작하기

by 만결숭이 2022. 10. 7.
반응형

옛날에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밑바닥부터 만들었다고 한다. 근데 요즘에는 스프링 부트를 기반으로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. 이클립스가 익숙한 사람들은 STS가 더 잘 맞을 수 있다. 나는 intelliJ로 갈아 탈 생각이기에 이 방법을 사용하려 한다.

프로젝트 workspace 내에서 만드는 것이 아닌, 사이트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.

 

http://start.spring.io

위의 링크에 접속해보자.

 

 

start.spring.io 사이트에 접속한 모습

 

Project(Maven/Gradle)

필요한 라이브러리를 가져오고 빌드하는 사이트까지 관리해주는 툴

과거에는 Maven을 많이 사용했지만 요즘에는 Gradle을 더 많이 씀

(아래 링크 참고)

 

 

[STS] pom.xml과 build.gradle (Maven vs. Gradle)

형식 - Maven : pom.xml 내에서 dependency 태그 내에 각 항목을 작성합니다. 그룹 아티팩트 버전 스코프 - Gradle : build.gradle 내에서 compile 1행 내에 모든 항목을 작성합니다. (두 가지 형태 모두 사용 가..

gksruf2848.tistory.com

 

 

Language : 언어

자바, 코틀린, 그루비 중 선택

 

 

Spring Boot : 버전 선택

SNAPSHOT : 개발중인 버전

M5 : 정식 릴리즈 된 버전이 아님

> 아무것도 붙어있지 않은 것 중에 가장 최신 버전을 선택

 

 

Project Metadata

Group : 보통 기업 도메인명을 씀

Artifact : 빌드되어 나올때의 결과물

Name : 프로젝트명

Description : 프로젝트에 관련된 설명

Package name : 패키지명

Packaging : 배포 형태

 

 

Dependencies : 가져다 쓸 라이브러리 추가

add dependencies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뜬다.

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이 있다. 이 Dependency를 통해 라이브러리들을 추가하고, 버전을 명시하면서 의존성 관리를 할 수 있고, 불러운 라이브러리내부를 보면 연관되어있는 라이브러리들까지 모두 가져오기 때문에 개발할 때 관리하기 편하다.

지금 셋팅할 때 추가하지 못했더라도 나중에 코드에서 수정이 가능하므로 너무 신중하지 않아도 괜찮다.
(Maven은 pom.xml, Gradle은 build.gradle)

 

이번 프로젝트에는 Spring Web, Thymeleaf를 선택했다.

 

 

 

 

반응형

이렇게 셋팅이 끝났다.

아래 세 가지 버튼 중 GENERATE를 클릭한다.

그럼 hanlim-spring.zip라는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.

이제 인텔리제이에서 그 폴더를 open하면 된다.

반응형

댓글